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김상옥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현대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시인

출생1920년03월15일

사망2004년10월31일

출생지경상남도 통영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초정 김상옥은 1920년 경상남도 통영에서 1남 6녀 중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1926년에 서당에서 한문을 공부했으며 1927년 통영공립보통학교를 입학했다. 소년기에 ‘인쇄소’ 등지를 전전하며 고학했고, 1933년에 보통학교를 졸업했다. 17세 때부터 조연현과 더불어 시지 ≪아(芽)≫에서 동인 활동을 하기도 했는데, 미공개 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 최초 동인지인 ≪참새≫에도 참여했다고 한다. 1937년 일경(日警) 때문에 함북의 옹기 지역으로 가 유랑했고, 1938년 함북 청진의 서점에서 일하며 함윤수, 김용호, 김대봉 등과 시지 ≪맥(貊)≫에서 동인 활동을 하기도 했다. 그 후엔 서정주, 임화, 박남수, 윤곤강 등과 함께 문학적 교유를 나눈다. 이후 ≪문장(文章)≫ 9호(1939년)에 그의 시 <봉선화>가 이병기의 추천으로 당선되었고, ≪동아일보≫의 시조 공모에서도 <낙엽>이 당선되면서 문단에 나오게 되었다. 누구보다 민족의식이 강했던 그는 해방 전까지 사상 문제로 수차례 피검했는데, 일례로 1941년과 1943년 통영경찰서 유치장에 수감된 경우가 그렇다. 1943년에 김정자 여사와 결혼했고, 1944년엔 다시 영어(囹圄) 생활을 했다. 그러던 중 폐결핵으로 출감해 마산결핵요양원에서 요양한 후 1946년 삼천포, 마산, 부산 등지에서 교원 일을 하며 창작에 몰두했다. 1947년에 첫 시조집 ≪초적(草笛)≫을 출간하고, 1949년 1월엔 ≪고원(故園)의 곡(曲)≫을 간행한다. 그해 6월에 시집 ≪이단(異端)의 시(詩)≫를, 1952년엔 동시집 ≪석류꽃≫을 냈다. 1956년에 ≪목석(木石)의 노래≫를 냈으며, 통영문인협회를 설립해 회장직을 맡기도 했다. 1969년엔 ‘아자방’이란 골동품과 표구 가게의 사업을 시작했다. 그 후 1973년엔 ≪삼행시육십오 편≫을, 1975년엔 산문집 ≪시와 도자≫를 그곳에서 펴냈다. 1980년엔 시집 ≪묵(墨)을 갈다가≫를 냈고, 1982년엔 제1회 중앙시조대상을 수상했다. 1989년엔 고희 기념 시집 ≪향기 남은 가을≫을 출간했으며, 1994년엔 제2회 충무시문화상을 수상했다. 1997년엔 제9회 삼양문화상(三羊文化賞)을 수상하고, 1998년엔 ≪느티나무의 말≫을 출간했다. 1999년엔 ‘우리 시를 사랑하는 모임’의 고문을 지냈다. 2001년에 시조 선집 ≪촉촉한 눈길≫을 냈고, 그해 6월 서화 개인전을 열었다. 다시 그해 12월에 가람시조문학상을 수상했다. 2002년엔 시조집 ≪초적(草笛)≫의 한정판(재판본)이 출간되었다. 금실이 좋기로 유명했던 시인은 2004년 부인이 사망하자 먹고 마시는 일을 중단했으며, 부인의 장례식 며칠 후 향년 85세에 생을 마감했다.


학력

  • 1933통영공립보통학교 졸업

수상

  • ≪동아일보≫의 시조 공모 당선
  • 1982제1회 중앙시조대상
  • 1994제2회 충무시문화상
  • 1997삼양문화상
  • 2001가람시조문학상

경력

  • 부산여자고등학교 교사
  • 경남여자고등학교 교사
  • 통영문인협회 회장

주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