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김준엽

김준엽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교육가/인문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인문/교육단체기관인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교육가/인문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대학/대학원 교수

출생1920년08월26일

사망2011년06월07일

출생지평안북도 강계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한국사회에서 드물게 존경할 만한 원로인 김준엽은 일제 강점기인 1920년 8월 26일 평안북도 강계에서 태어났다. 일본 게이오대학 재학 중 학도병으로 징집되어 중국 전선으로 투입되었다가 탈출, 중국유격대에 가담하고 중경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에 참가하면서 항일민족해방투쟁의 한가운데서 청년시절을 보내게 된다. 해방 직후 광복군국내정진군의 일원이기도 했던 그는 독립운동가들을 따라 귀국하지 않고 중국에 남아 학자의 길을 걷게 된다. 1949년 귀국하여 고려대학교 조교수를 시작으로 36년간 고려대에 몸담으면서 아세아문제연구소장과 총장을 지낸다. 아세아문제연구소에서 연구하며 펴낸 '한국공산주의운동사'(김창순과 공저)는 그의 필생의 노작이자 우리시대의 명저 중 하나로 꼽힌다. 퇴임이후에는 사회과학원을 설립하고 한중 학술문화교류에 힘써왔으며 파란만장한 한국 현대사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을 녹여낸 회고록 집필에 정진하여 광복군시절부터 시작되는 '장정(長征)' 시리즈 5권을 펴냈다. 2011년 6월 7일 향년 92세로 별세하여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4묘역에 안장되었으며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추서받았다.


학력

  • 게이오 대학교 동양사학과

수상

  • 애서가상
  • 제2회 한국국제교류재단상 특별 공로상
  • 국민훈장 무궁화장

경력

  • 대학 제학 중 학도병으로 징집됨
  • 중국 전선으로 투입되었다가 탈출, 중국유격대에 가담
  • 중경 임시정부와 한국광복군에 참가
  • 광복군국내정진군의 일원으로 활동
  • 귀국 후 고려대학교 조교수, 교수
  • 난징 중국국립동방어문전문학교 전임강사
  • 아세아문제연구소장
  • 1982 ~ 1985제9대 고려대학교 총장
  • 사회과학원 이사장, 한국국가기록연구재단 고문
  • 중국 길림성사회과학원 명예교수

주요 작품

[국내도서] 장정
[국내도서] 장정
아연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