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상진
국내인물교육가/인문학자대학/대학원 교수
출생지대한민국
인물소개
학력은 총신대학교 종교교육과 졸업 (B.A.),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M.Ed.), 총신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이수, 독일 부퍼탈 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이수, 독일 뒤셀도르프 대학교 철학부 교육학과 졸업, 철학 박사 (Ph.D.),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M.Div. Equiv)이다. 독일 뒤셀도르프 대학교 교환교수, 한국복음주의기독교교육학회장,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부교수,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현재 총신대학교 명예교수이다. 주요저서로 Die Paedagogische Anthropologie O.G. Bollnows Und Ihre Reaptionsgeshichte in Korea-Zenon Verlag,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Ⅵ-교육과학사, 인간학적 교육학(역)-양서원, 기독교 인간교육-그리심, 종교개혁자의 신앙교육-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해석학과 정신과학적 교육학 공저-(주)사회평론, 개혁주의 기독교교육철학-그리심이 있다. 논저로 Die unstetigen Erziehungsformen in der Paedagogosche perspekeiv, Die Rezeption von Bollnows Erziehungsgedanke in Korea, 새 시대의 기독교 인간교육, 인간성 교육에 대한 기독교교육의 과제, 기독교교육에서 본 양심교육, 개혁주의 기독교교육학의 과제, 도예베르트의 인간교육철학, Bollnow의 해석학과 종교학의 관계성 고찰, 하이델베르크 신앙교육서에 나타난 칼빈주의 교육, 개혁주의 관점에서 본 기독교 인간교육에 관한 고찰, 삶의 철학과 교육의 관계성 고찰, 루터의 인간이해에 대한 철학적 사고, 계몽의 지평에서 칸트의 교육사상 잊혀져 가는 페스탈로찌의 삶과 종교와 교육, 포스트모던의 역사와 신학과 교육, 포스트모던 사회에서의 종교교육, 인성에 대한 교육적 의미, 형식 논리학적 전환에 있어 『로고스? 개념에 대한 볼르노의 철학, 종교과학에 대한 볼르노의 새로운 해석학적 필요성 고찰, 『할 수 있음』의 교육학에 대한 인간학적 물음, 교사로서의 루터, 교회교육현장을 위한 인성교육의 중요성, 칼빈의 신앙과 교회 교육의 중요성이 있다.
학력
-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M.Div. Equiv)
- 독일 뒤셀도르프 대학교 철학 박사 (Ph.D.)
- 독일 뒤셀도르프 대학교 철학부 교육학과 졸업
- 독일 부퍼탈 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 이수
- 총신대학원 기독교 교육학과 이수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 (M.Ed.)
- 총신대학교 종교교육과 졸업 (B.A.)
경력
- 독일 뒤셀도르프 대학교 교환교수
- 한국복음주의기독교교육학회장
-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과 부교수
- 총신대학교 기독교교육연구소장
- 총신대학교 명예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