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혜정
국내인물교육가/인문학자인문학자
인물소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불교교육철학을 전공했다. 동국대학교에서 “동학·천도교의 교육사상과 실천의 역사적 의의”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숙명여자대학교 Post-Doc를 거쳤다. 중앙대 연구교수, 인천대 연구교수,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있다가 현재는 한국교육연구소, 남북어린이어깨동무,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으로 연구 활동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일본의 근대화와 조선의 근대』(2013), 『몸-마음의 현상과 영성적 전환』(2016), 『동학·천도교의 교육사상과 실천』(혜안, 2001), 『동학의 한울 교육사상』(모시는사람들, 2007), 「이돈화의 인내천주의와 서구근대철학의 수용」(2010), 「개화기 서구 입헌국가학(立憲國家學)의 수용과 국민교육」(2010), 「개화기 계몽교과서에 나타난 근대국가수립론: 『국민수지(國民須知)』를 중심으로」(2011), 「조선 선불교(禪佛敎)의 심성(心性) 이해와 마음공부론: 득통 기화의 삼교합일 사상을 중심으로」(2012), 「교육에 있어서 신체지각과 미적 체험의 중요성: M. Heidegger와 불교적 수행을 중심으로(2006)」, 「일제의 감화교육에 나타난 근대교육의 성격: 일본과 식민지 조선의 感化院 설립을 중심으로(2007)」,「의암 손병희의 性心身 삼단의 심성론과 본래적 자아로서 한울이해: 불교적 심성론을 중심으로(2007)」, 「이돈화의 인내천주의와 서구근대철학의 수용」(2010), 「만해 한용운의 불교유신사상에 나타난 ‘주체적 근대화’와 마음수양론」(2017), 등이 있다.
학력
- 숙명여대 Post-Doc
- 동국대 교육학 박사학위
- 숙명여자대학교 동 대학원 불교교육철학 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경력
- 중앙대 연구교수
- 인천대 연구교수
-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연구교수
- 한국교육연구소
- 남북어린이어깨동무
- 종교문화연구원 연구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