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천승세

천승세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현대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소설가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교육가/인문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국어학자/국문학자

출생1939년02월23일

출생지전라남도 목포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1939년 전라남도 목포에서 천독근(千篤根)과 소설가 박화성(朴花城)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본관은 영양(穎陽), 호는 하동(河童)이다. 성균관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신태양사 기자, 문화방송 전속작가, 한국일보 기자를 지내고 제일문화흥업 상임작가, 독서신문사 근무, 문인협회 소설분과 이사, 그리고 평론가 천승준의 아우이다. 1958년《동아일보》신춘문예에 소설《점례와 소》가 당선, 또한 1964년《경향신문》신춘문예에 희곡《물꼬》와 국립극장 현상문예에 희곡 《만선》이 각각 당선되었다. 한국일보사 제정 제1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을 수상했으며, 창작과 비평사에서 주관하는 제2회 만해문학상, 성옥문화상 예술부문 대상을 각각 수상하였다. 그의 작품은 대부분 휴머니즘에 입각하여 인간이 인간을 찾는 정(精)의 세계를 표현한다. 한결같이 인정에 바탕을 둔 인간 사회의 비정한 세계를 문학적으로 승화시키는 작업을 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요작품으로는 '내일'(현대문학, 1958), '견족(犬族)'(동상, 1959), '예비역'(동상, 1959), '포대령'(세대, 1968) 등이 있다. 단편소설집에 '감루연습(感淚演習)'(1978), '황구(黃狗)의 비명'(1975), '신궁'(1977), '혜자의 눈물'(1978) 등이 있고, 중편소설집에 '낙월도'(1972) 등이 있고, 장편소설집에 '낙과(落果)를 줍는 기린'(1978), '깡돌이의 서울'(1973) 등이 있다. 꽁트집 '대중탕의 피카소'(1983), 수필집 '꽃병 물좀 갈까요'(1979) 등이 있다.


학력

  • 성균관대학교 국문학과

수상

  • 동아일보 신춘문예('점례와 소')
  • 국립극장 현상문예('만선')
  • 경향신문 신춘문예 ('물꼬')
  • 제1회 한국연극영화예술상(한국일보사)
  • 제2회 만해문학상(창작과 비평사)
  • 성옥문화상 대상(예술부문)
  • 자유문학상 본상

경력

  • 신태양사 기자
  • 문화방송 작가
  • 한국일보 기자
  • 제일문화흥업 상임작가
  • 독서신문사 근무
  • 문인협회 소설분과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