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미경
국내인물교육가/인문학자민속학자
출생지대한민국
인물소개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국어국문학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문학(연행록)·민속학(스토리텔링)전공했다. 문학박사, 민속학자, 방송작가, 시인, 스토리텔링 작가를 했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 KBS·EBS 방송작가, 중앙대 예술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강사, 한국외대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강사, 강원대 스토리텔링학과 강사, 원광대 대학원 문화콘텐츠전공 교수, 전주대학교 연구교수, 중국 북경 중앙민족대학 방문학자, 전남문화예술재단 문화사업팀장, 진도군 학예연구사, 나주시 역사문화큐레이터 & 스토리텔링작가를 했다. 현재 직업은 김미경스토리텔링연구소 소장, 한국국학진흥원 이야기할머니사업단 현지연구원(광주·전남권), 한국문인협회 회원. 한국방송작가협회 회원, 전라남도 가고 싶은 섬(섬 가꾸기) 자문위원 및 평가위원, 한국도서(섬)학회 부회장이다. 저서로는 『진도 축제식 상장례 민속의 연희성과 스토리텔링』(2013, 민속원), 『완주, 추억의 삼례장 스토리텔링 북』(2016, 완주군), 『공주 계룡산 상신마을 스토리텔링 북』(2015, 스카이컴), 『스토리텔링의 보물섬, 고군산군도』(2015, 신성출판사:공저), 『경주개 동경이마을 스토리텔링 북』(2014, 경주개 동경이 사업단), 『조선 선비와 함께 떠나는 중국 여행 - 東華 李海應의 『?山紀程』 硏究』(2012, 민속원) 있다. 논문에는 순천향대학교이순신연구소, 『명량대첩과 진도』, 이순신연구논총 제6호, 2006, 한국도서(섬)학회, 『珍島 流配文化의 一考察』, 한국도서연구 제18권, 2006, 한국공연문화학회, 『진도 장례의 무대 공연예술로서의 스토리텔링의 실제』, 공연문화연구 17집, 2008.이 있다.
학력
-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문학(연행록)·민속학(스토리텔링)전공
- 고려대학교 동양사학과·국어국문학과
경력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연구원
- KBS·EBS 방송작가
- 중앙대 예술대학원 문화콘텐츠학과 강사
- 한국외대 대학원 글로벌문화콘텐츠학과 강사
- 강원대 스토리텔링학과 강사
- 원광대 대학원 문화콘텐츠전공 교수
- 전주대학교 연구교수
- 중국 북경 중앙민족대학 방문학자
- 전남문화예술재단 문화사업팀장
- 진도군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