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지상
국내인물방송/공연예술인대중음악가작곡가
국내인물방송/공연예술인대중음악가가수
출생지경기도 포천
데뷔년도1998년
데뷔내용1집 '사람이 사는 마을'
인물소개
고단한 사람들의 일상에 희망의 언어를 들려주는 가수 겸 작곡가다. 경기도 포천에서 나고 경희대 국문과를 졸업했다. 청년문예운동의 시기를 거쳐 노래마을의 음악감독, 민족음악인 협회 연주 분과장을 지냈고 여러 드라마, 연극, 독립영화 음악을 만들었다. 1991년 <통일은 됐어> <내가 그대를 처음 만난 날> 작곡으로 음악 시작, 1998년 1집 <사람이 사는 마을>, 2000년 2집 <내 상한 마음의 무지개>, 2002년 3집 <위로하다, 위로받다>, 2006년 4집 <기억과 상상>, 2016년 5집 <그리움과 연애하다>, 2020년 6집 〈나의 늙은 애인아〉 앨범을 발표했다. 2010년 철학 에세이 『이지상 사람을 노래하다』, 성찰적 여행기 『스파시바, 시베리아』, 2019년 『여행자를 위한 에세이 北』 등의 책을 내기도 했다. 시노래 운동 '나팔꽃'의 동인으로, 깊이 있는 메시지를 통해 삶의 좌표를 만들어가는 음악을 지향하고 있다. 에다가와 조선학교 지원모금 집행 위원장,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몽당연필 공동대표, 협동조합 은평시민신문 이사장, (사)희망래(來)일 대륙학교 교장, 인권연대 운영위원을 역임했으며 성공회대학교 외래교수로 '노래로 보는 한국 사회'를 강의하기도 했다.
학력
- 경희대 국문과 졸업
경력
- 노래마을 음악감독
- 족음악인 협회 연주 분과장
- 성공회대학교에서 '노래로 보는 한국 사회' 강의
- 시노래 운동 '나팔꽃' 동인
- 에다가와 조선학교 지원모금 집행 위원장
- 조선학교와 함께하는 몽당연필 공동대표
- 협동조합 은평시민신문 이사장
- (사)희망래(來)일 대륙학교 교장
- 인권연대 운영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