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강경애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현대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소설가

출생1906년04월20일

사망1944년

출생지황해도 송화

데뷔년도1931년

데뷔내용<조선일보>에 단편 <파금>발표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1906년 4월 20일 황해도 송화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부친을 여읜 뒤 모친의 재혼으로 장연(長淵)으로 이주했다. 1920년 평양 숭의여학교에 입학했으나, 동맹 휴학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퇴학 처분을 받아 경성부 동덕여학교 4학년에 편입해 약 1년간 수학했다. 1924년 양주동 등이 참여한 잡지 <금성>에 ‘강가마’라는 필명으로 작품을 발표했고, 같은 해 9월 고향으로 돌아가 무산 아동을 위한 흥풍야학교를 개설해 학생과 농민을 지도했다. 그 뒤 신간회와 여성 단체인 근우회 활동에도 가담했다. 1931년 장하일과 결혼하고 간도에 이주해 살면서 작품 활동을 계속했다. 한때 <조선일보> 간도지국장을 역임했으나, 건강 악화로 1942년 남편과 함께 간도에서 귀국해 요양하던 중 작고했다. 1931년 단편 소설 ≪파금(破琴)≫으로 문단에 데뷔했고, 장편 소설 ≪어머니와 딸≫을 발표함으로써 작가로 인정을 받았다. 어려운 살림살이와 병고, 그 리고 중앙 문단과 멀리 떨어져 있다는 불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준열한 작가 정신으로 식민지 한국의 빈궁 문제를 작품화하는 데 힘쓴 작가이다. 특히 ≪인간 문제≫와 ≪지하촌≫은 강경애를 새롭게 주목하게 된 문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 외 작품으로는 ≪젊은 어머니≫, ≪소금≫, ≪산남≫ 등이 있다.


경력

  • 1931조선일보에 단편 '파금' 발표
  • 1934동아일보에 '인간문제' 연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