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강운구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대중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포토에세이작가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화예술인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사진작가

출생1941년

출생지경상북도 문경

데뷔년도1978년

데뷔내용'내설악 너와집'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1941년 문경에서 태어나 경북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했다. 1966년에 조선일보사 편집국 사진부 기자로 입사하면서 포토저널리스트가 되었고, 그후 1970년 동아일보사로 옮겨 출판국 사진부 기자로 재직하던 중, 1975년 정부의 언론 탄압에 저항해 결성된 '동아 언론자유수호 투쟁위원회'에 가입했다가 해직되었다. 이후 제한된 전람회장의 벽면보다는 잡지나 책의 지면에 더 비중을 두며 1983년부터 지금까지 프리랜서로 활동하고 있다. 강운구는 1960년대 이후 개발독재의 강압적 분위기 속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는 국면들을 끊임없이 기록해 왔으며, 외국 사진이론의 잣대를 걷어내고 우리의 시각언어로써 포토저널리즘과 작가주의적 영상을 개척하여 가장 한국적인 질감의 사진을 남기는 사진가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마을 삼부작'(2001) 등 세 차례의 개인전을 가진 바 있다. 사진집으로 '내설악 너와집'(1978), '경주남산'(1987), '우연 또는 필연'(1994), '모든 앙금'(1998), '강운구'(2004)가 있고, 사진과 함께한 산문집으로 '시간의 빛'(2004)이 있으며, 공저로 '사진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1999), '능으로 가는 길'(2000), '한국 악기'(2001)가 있다.


학력

  • 경북대학교 영문과 졸업

경력

  • 1966조선일보사 편집국 사진부 기자로 입사
  • 1970동아일보 사진부 기자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