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김기흥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과학자/공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과학/건축칼럼니스트

출생지대한민국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서강대 사회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친 전형적인 사회과학도였다. 그러다 우연히 과학사회학을 알게 되었고, 이 분야가 지닌 매력에 빠져 에든버러학파 과학사회학을 주창한 데이비드 블루어 교수를 직접 찾아가 그 밑에서 박사과정을 밟기 시작했다. 에든버러 대학에서 과학지식사회학, 의료사회학, 그리고 의학사를 공부하면서 과연 우리가 당연시하고 있는 과학지식이 어떻게 사회변화와 연관되고 있는지를 연구했다. 한 때 녹음기 한 대를 달랑 들고, 미국과 유럽을 돌아다니며 당시 광우병을 연구하던 과학자들을 만나 그들의 경험과 실험실의 구조를 연구하기도 했다. 박사학위 논문은 광우병 연구자들에 대한 사회학적인 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었다. 그 뒤 런던 대학의 세계적인 의학사 연구센터인 웰컴재단 의학사연구센터의 연구원으로 지내면서, 의학사 연구자들과 함께 광우병을 비롯한 현대 퇴행성 중추신경질환에 대한 역사적인 연구를 진행했다. 이곳에서 사회과학, 역사학, 의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를 통해, 어떻게 과학지식의 형성이 그 자체로 사회적인 현상인지를 연구했다. 하지만 과연 과학자들이 일상적으로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고 그 과정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알고 싶다는 강한 호기심 때문에 다시 인류학 연구에 뛰어들었다. 현재 런던 임페리얼컬리지의 화학공학과의 중합체 물질 연구팀의 일원으로 새로운 물질을 만들어내는 과학자들과 함께 몸을 부대끼며 소위 실험실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스스로를 ‘유목민 사회과학자’라 부른다. 사회학, 역사학, 인류학, 의학, 공학 분야를 넘나들기를 즐기기 때문이다. 여러 편의 논문을 썼으며, 저서로는 'Social Construction of Disease: From Scrapie to Prion'(Routledge)이 있다.


학력

  • 서강대 사회학과 학부, 석사 졸업

경력

  • 에든버러 대학 과학지식사회학, 의료사회학, 의학사 연구
  • 런던 대학 세계적인 의학사 연구센터인 웰컴재단 의학사연구센터 연구원
  • 현)런던 임페리얼컬리지 화학공학과 중합체 물질 연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