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김성완

김성완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과학자/공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항공공학자/우주공학자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의사/의료인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의학자/의학박사

출생지대한민국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NASA의 핵심 프로젝트인 차세대 우주왕복선 개발의 책임연구원, 미 정부가 인정한 항공우주공학의 '브레인' 김성완 박사. NASA 랭리(Langley) 연구소에서 17년간 단 한 명의 연구원만 뽑을 정도로 비밀스런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분야의 책임을 맡았던 그가 고국에 돌아왔다. 우주시대를 열어 갈 손꼽히는 미래 항공우주전문가가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로 변신한 것이다.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을 마치고 미국 UCLA에서 항법제어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밟은 그는 NASA의 프로젝트에 참여해 장학금을 받으며 항공우주공학과의 인연을 맺었다. 이후 세계 10위 방위산업체 LAC(현 BAE)의 책임연구원을 거쳐 대표적 항공우주기업 보잉(Boeing)에서 차세대 우주왕복선 초기 개발의 책임연구원으로 일했고 오랜 꿈대로 NASA에 들어가 차세대 우주왕복선 연구 및 유인 달·화성 탐사선 연구의 책임연구원이 되었다. 암스트롱의 달 착륙 장면을 생중계로 보고 꿈을 키운 'NASA 키즈', "600만 불의 사나이"를 보고 인간과 기계와의 결합을 상상했던 '로봇 키즈' 김성완 박사는 자신의 꿈을 향한 끝없는 도전을 통해 지금 항법제어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로 불리고 있다. 이제 그는 NASA에서의 활약을 접고 모교인 서울대의 부름을 받아 의대 교수로 변신했다. 의학과 공학의 융합을 이끌 의공학자로 돌아와 보잉과 NASA에서 연구한 항공우주공학을 토대로 대한민국 의공학에 '날개'를 달고자 한다. 의학과 공학, 항공우주를 종횡무진하는 그는 "아이언맨"과 "600만 불의 사나이"를 만들어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고 우주여행을 실현화하는 새로운 미래를 탐사 중이다.


학력

  • 미국 UCLA 항법제어 전공 박사학위 취득

경력

  • NASA의 프로젝트 참여해 장학금 수혜
  • LAC(현 BAE)의 책임연구원
  • 항공우주기업 보잉(Boeing) 차세대 우주왕복선 초기 개발 책임연구원
  • NASA 차세대 우주왕복선 연구 및 유인 달·화성 탐사선 연구 책임연구원
  • 현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