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
국내인물교육가/인문학자유학/동양철학자
출생1750년
사망1805년
출생지대한민국
데뷔년도1777년
데뷔내용'건연집' 저술
인물소개
1750-1805. 조선 후기 실학자로 특히 연암 박지원과 함께 18세기 북학파의 거장이다. 본관은 밀양(密
陽), 자는 차수(次修)/재선(在先)/수기(修其), 호는 초정(楚亭)/정유(貞유)/위항도인(葦伉道人) 이다. 승지 박평의 서자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1778년 사은사 채제공의 수행원으로 청나라에 다녀와서 '북학의'를 저술했다. 청나라의 선진 문물을 본받아 생산 기술을 향상시키고, 통상 무역을 통하여 이용후생을 실현할 것을 역설하였다. 정조의 서얼허통 정책에 따라 이덕무/유득공/서이수 등과 함께 규장각 검서관이 되었다. 기상은 컸고 성격은 굳고 곧았다. 시문은 첨신하며 활달했고 필세는 날카롭고 굳세었다. 학문은 개혁적이면서도 실용적이었는데, 다산 정약용과 추사 김정희에게 영향을 주었다. 저서에 '정유집', '북학의' 등이 있다.
경력
- 1777이덕무, 유득공, 이서구 등과 함께 '건연집' 저술
- 1778'북학의' 저술
- 규장각 검서관으로 근무
- 1799'진북학의'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