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고유섭

고유섭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화예술인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미술사학자

출생1905년

사망1944년

출생지인천광역시

데뷔년도1931년

데뷔내용'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 발표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1905 경기도 인천 출생. 1918 인천공립보통학교 졸업. 1925 경성보성고등보통학교 졸업. 1930 경성제국대학 졸업. 1931 '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 발표. 1932 '조선 탑파 개설' 발표. 1933 개성부립박물관 관장 취임. 1934 '우리의 미술과 공예', '조선 고적에 빛나는 미술 발표'. 1935 '고려화적에 대하여' 발표. 1936 이화여전, 연희전문으로 출강. '고구려 쌍영총' 발표. '조선탑파의 연구'를 '진단학보'에 연재. 1939 '조선의 청자' 출간. 1940 '조선 미술문화의 몇낱 성격', '인재 강희안 소고', '인왕제색도 정겸재 소고' 발표. 1941 '고려도자와 조선도자', '조선 고대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문제' 발표. 1943 일본 문부성 주최로 열린 '일본제학연구대회'에서 '조선탑파의 양식 변천' 발표. 1944 간경화로 별세.


학력

  • 1930경성제국대학 졸업
  • 1925경성보성고등보통학교 졸업
  • 1918인천공립보통학교 졸업

경력

  • 1931'금동미륵반가상의 고찰' 발표
  • 1932'조선 탑파 개설' 발표
  • 1933개성부립박물관 관장 취임
  • 1934'우리의 미술과 공예', '조선 고적에 빛나는 미술 발표'
  • 1935'고려화적에 대하여' 발표
  • 1936이화여전, 연희전문으로 출강. '고구려 쌍영총' 발표. '조선탑파의 연구'를 '진단학보'에 연재
  • 1939'조선의 청자' 출간
  • 1940'조선 미술문화의 몇낱 성격', '인재 강희안 소고', '인왕제색도 정겸재 소고' 발표
  • 1941'고려도자와 조선도자', '조선 고대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문제' 발표
  • 1943일본 문부성 주최로 열린 '일본제학연구대회'에서 '조선탑파의 양식 변천'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