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오
국내인물공무원/공직자정치가/정당인
출생1945년01월11일
출생지경상북도 영양
데뷔년도1984년
데뷔내용'해방후 한국학생운동사'
인물소개
1945년 1월 11일 경북 영양군 출생. 소년 시절 가난과 전쟁의 틈바구니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중학교에 들어가서 읽은 '상록수'의 박동혁에 깊은 영향을 받아 농촌운동가의 꿈을 꾸기 시작했다. 특히 웅변에 재능이 뛰어나 각종 웅변대회를 휩쓸기도 했으며, 제대 후에는 함석헌, 계훈제, 김수환 추기경 등을 모시고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수협)를 결성하였고, 재야청년단체의 효시인 민주수호청년협의회(민수청)의 2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재야 운동가 시절 민주주의와 통일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독재정권 아래서 극심한 고문과 함께 다섯 번의 감옥으로 이어졌다. 민주·통일 민중운동연합(민통련) 민족통일위원장으로 활동했고, 6·10 민주항쟁 당시에는 국민운동본부 상임 집행위원으로 항쟁을 주도했으며, 군정종식 후보단일화 쟁취 국민협의회(국협)을 결성하고 후보단일화 운동에 나섰다. 이후 민중당을 창당하여 진보정치의 실현에 매진했으나 현실정치의 벽을 넘지 못하였다. 현실 정치가 시절 신한국당에 전격 입당하여 제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 은평(을)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초선의원 모임인 '시월회'를 결성하여 정풍운동을 주도하였다. 야당 원내총무로 선임되었으며, 임기를 마치고 서울시장 이명박 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 서울시장 직무인수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한나라당 사무총장, 원내 대표, 수석 최고위원 등을 역임하면서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당선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8대 총선에서 낙선하고 미국 연수를 떠나 새로운 정치적 비전인 '동북아평화번영공동체'와 '공동체자유민주주의'를 구상하였다. 2009년 국제옴부즈만협회 아시아지역 부회장/이사를, 2010년 제18대 국회의원를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해방 후 한국학생운동사'(1984), '긴 터널 푸른 하늘'(1991), '수채화 세계도시기행'(2005, 공저), '물길 따라가는 대한민국 자전거여행'(2007), '백의에 흙을 묻히고 종군하라'(2008), '한일관계사의 인식Ⅰ', '시가 있는 명상노우트' 등이 있다.
학력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 석사 졸업
경력
- 민주수호국민협의회(민수협) 결성
- 민주수호청년협의회(민수청) 2대 회장
- 민주·통일 민중운동연합(민통련) 민족통일위원장으로 활동
- 6·10 민주항쟁 당시 국민운동본부 상임 집행위원
- 민중당 창당
- 제15대 총선에서 신한국당 은평(을)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 초선의원 모임인 '시월회' 결성
- 야당 원내총무로 선임, 서울시장 이명박 후보의 선거대책본부장, 서울시장 직무인수위원장
- 한나라당 사무총장, 원내 대표, 수석 최고위원
- 2009국제옴부즈만협회 아시아지역 부회장/이사
- 2010제18대 국회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