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박용철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현대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시인

출생1904년

사망1938년

출생지대한민국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1930년대 사재를 털어 문예잡지 ≪시문학≫ 3권(1930), ≪문예월간≫ 4권(1931), ≪문학≫ 3권(1934) 등 도합 10권을 간행하였다. 또한 문학활동에 전념하면서도 그가 주재하던 시문학사에서 1935년 ≪정지용시집≫과 ≪영랑시집≫을 간행하였지만, 정작 자신의 작품집은 내지 못하였다. ≪시문학≫ 창간호에 [떠나가는 배]·[밤기차에 그대를 보내고]·[싸늘한 이마]·[비내리는 날] 등을 발표하면서부터 본격적인 시 작품활동을 하였으며, ≪시문학≫·≪문예월간≫·≪문학≫ 및 기타 잡지에 많은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또한 발표되지 않고 유고로 전하여진 작품도 상당수에 달한다. 자신이 주축이 된 시문학 동인활동과 ‘해외문학파’,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참여하여 연극공연을 위한 몇 편의 희곡(입센 원작 ≪인형의 집≫, 그리고 [바보], [베니스 상인], [말 안 하는 시악시], [사랑의 기적]… 등)을 번역 및 창작하였으며 직접 단역으로 출연하기도 했다. 방대한 번역시 등을 통해 해외문학을 국내에 소개하는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은 한국 근현대문학사에서 큰 의의라 하겠다. 또한 ≪삼천리문학≫에 실린 박용철의 대표적인 평론인 [시적 변용에 대해서](1938)는 지금도 널리 읽혀지는 시작(詩作) 이론이다. 이 시론을 통하여 1930년대 초반 ≪시문학≫이 기틀을 잡는 데 많은 공헌을 하였으며, 1930년대 중반부터는 모더니즘과 기교주의 논쟁에서도 순수파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