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김조순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역사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역사인물

출생1765년

사망1832년

출생지대한민국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1765(영조41)~1832(순조32),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낙순(洛淳), 자는 사원(士源), 호는 풍고, 시호는 충문(忠文)이다.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4대손으로, 부친은 부사를 지낸 김이중(金履中)이다. 21세 때인 1785년(정조9)에 문과에 급제하여 정조로부터 조순(祖淳)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으며, 1786년 초계문신(抄啓文臣)에 뽑혔다. 1792년(정조16)에 담정 김려(와 함께 《우초신지(虞初新志)》를 모방하여 《우초속지(虞初續志)》를 만들었다. 이해 10월에 동지겸사은사의 서장관으로 연행하였으며, 패관소설의 탐독으로 문체가 바르지 못하다는 정조의 견책을 받고 연행 도중 자송문(自訟文)을 지어 올렸다. 1800년(정조24) 6월 정조가 승하한 뒤 정조의 시책문(諡冊文)을 지어 올렸다. 병조ㆍ예조ㆍ이조의 판서를 거친 뒤 1802년(순조2)에 문형이 되었으며, 이해 9월에 딸이 순조의 비(妃)가 되자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에 봉해졌다. 1804년(순조4) 무렵 삼청동(三淸洞)에 별장인 옥호정(玉壺亭)을 조성하였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많은 문인들과 시회를 펼쳤다. 이후 훈련대장과 금위대장을 역임하였고, 1826년(순조26)에 다시 문형이 되었다. 1832년(순조32) 4월 3일 세상을 떠나 여주(驪州) 효자리(孝子里)에 묻혔으며, 1841년(헌종7)에 이천(利川) 가좌동(加佐洞)으로 이장되었다. 정조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양주의 석실서원(石室書院)과 여주의 현암서원(玄巖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풍고집》이 있다.


주요 작품

[국내도서] 풍고집 5
[국내도서] 풍고집 5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국내도서] 풍고집 4
[국내도서] 풍고집 4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
[국내도서] 풍고집 1(교감표점)
[국내도서] 풍고집 1(교감표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국내도서] 풍고집 2(교감표점)
[국내도서] 풍고집 2(교감표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국내도서] 풍고집 3
[국내도서] 풍고집 3
성균관대학교대동문화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