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주근옥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교육가/인문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국어학자/국문학자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문학가오른쪽 화살표 아이콘현대문학가

출생지대한민국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시집 1987 『산노을 등에 지고』, 1988 『감을 우리며』, 1998 『번개와 장미꽃』, 2001 『바퀴 위에서』, 2002 『갈대 속의 비비새』 그 외 저서로 2001 『한국시 변동과정의 모더니티에 관한 연구』, 2001 『석송 김형원 연구』 등이 있다. 번역서로 2014 구조의미론(Structural Semantics), 2014 (기호학 이론으로서의) 의미론선집(On Meaning-Selected Writings in Semiotic Theory), 2014 정념의 기호학(The Semiotics of Passions), 2014 구조언어학과 시학의 관계, 2014 미니멀리즘(Minimalism), 2014 민주주의의 전망, 2014 오늘날의 신화, 2014 형식주의 문학논쟁과 주요연구논문으로 「한국시 변동과정의 모더니티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박사학위논문, 대전대, 2001), 「石松 金炯元 詩文學 硏究」(석사학위 논문, 충남대, 1998), 「50년대의 사회적 배경과 주요 시인의 시적 특성」(『개신어문연구』 제30집, 2009, KCI급;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공간의 이중구조와 중재자로서의 역할」(『어문연구』 제41집, 2003, KCI급;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신체시의 표층구조와 기원에 관한 一考」(『한국언어문학』 제50집, 2003, KCI급;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창가의 문화접변적 성격연구」(『국어국문학』 제133집, 2003, KCI급;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정형시의 모더니티에 관한 연구」(『비평문학』 제17호, 2003, KCI급;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신화적 공간의 수호를 위한 직립보행」(『비평문학』 제16호, 2002, KCI급;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가시리”와 “진달래”의 비교분석」(『한국시문학』 제12집, 2002), 「시의 모더니티에 관한 일고」(『호서문학』 통권 33호, 2004), 「자물쇠 걸기와 풀기, 그리고 그 미장센의 역동성」(『조선문학』 통권 174호, 2005. 10), 「허파와 쓸개 그리고 친구 찾기로서의 역동성」(『시문학』 통권 390호, 2004. 1),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의 신화창조」(현대작가논총 제2호, 2008. 9 30), 「이차원적 차원에 대한 開眼」(문상금 시집 『다들 집으로 간다』, 다층, 2002), 「절벽 앞에서 깨닫는 실존」(구본미 시집 『정말 원하는 하루』, 오름, 2001), 「隱喩의 五蘊觀法的 接近」(『호서문학』, 1981), 「後素의 美學」(『대전시단』, 1989) 등이 있다. 대학교재에 시 소절초(송홧가루, 도꼬마리), 『대학국어』(목원대학교, 1996), 나리꽃, 수수모가지, 『말글삶』(목원대 국어교육과, 1997)을 수록하기도 했다.

홈페이지
http://www.poemspace.net/


학력

  • 대전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졸업(문학박사)
  • 충남대학교 대학원 국문과 졸업(문학석사)

경력

  • 2002 ~ 2003대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 심사위원
  • 대전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겸임교수
  • 한국문인협회 회원
  • 국어국문학학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