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지눌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종교인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불교인

출생1158년

사망1210년

출생지대한민국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조계산 수선사(修禪社)의 개조(開祖)다. 호는 목우자, 속성은 정씨이며 동주(洞州: 단흥) 출생이다. 1158년 정광우(鄭光遇)와 부인 조(趙)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8세에 종휘(宗暉)에게서 승려가 되어 구계(具戒)를 받고 일정한 스승 없이 도를 구하였다. 1182년(명종 12년) 승과에 급제하였으나 승려로서의 출세를 포기하고 많은 선배를 찾아다니며 가르침을 받았다. 창평의 청원사에서 『육조단경』을 읽다가 스스로 깨달은 바가 있어서 속세를 피하고 도를 구하기 위하여, 1185년 하가산의 보문사에 들어갔다. 그곳에서 『대장경』을 열독하는 등 불도에 전력하며 독자적인 사상을 확립하였다. 득재(得才)의 청으로 팔공산 거조사(居組寺)에서 여러 고승을 맞아 몇 해 동안 정혜(定慧)를 익히다가 신종 때 지리산 상무주암에 은거하며 외부와의 인연을 끊고 참선하여 선의 참뜻을 깨달았다. 1200년 송광산 길상사에서 11년 동안 제자들에게 설법을 전하니 사방에서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그들에게 『금강경』, 『육조단경』, 『화엄론』, 『대혜록』 등으로 가르치고 성적등지문(惺寂等持門)ㆍ원돈신해문(圓頓信解門)ㆍ경절문(經截門)의 3종으로 수행하니 믿음에 들어가는 자가 많았다. 억보산의 백운정사ㆍ적취암과 서석산의 주봉란야ㆍ조월암 등은 다 지눌이 창건하고 왕래하며 수선(修禪)하였다. 희종이 즉위하여 송광산을 조계산, 길상사를 수선사라 개명하여 제방(題榜)을 친히 써서 주고 만수가사(滿繡袈裟)를 보내왔다. 그는 중생을 떠나 부처님이 따로 없음을 강조하여 선종과 교종을 통합하였다. 승도를 소집하여 법복을 입고 당에 올라가 설법하다가 주장을 잡은 채 사망하니 탑을 세우고 감로라 하였다. 죽은 후 국사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진심직설』,『수심결』,『정혜결사문』,『상당록』,『염불요문』 등이 있다. 왕이 문신 김군수(金君綬)에게 비문을 찬수케 하여 비석을 세웠는데 병화에 없어지고 귀부(龜趺)만 남은 것을 1678년(조선 숙종 4)에 백암(栢菴), 성총(惺聰) 등이 중건하였다. 편역자인 우득 스님은 제주도에서 후학을 가르치는 참스승이다.


주요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