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이인아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교육가/인문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대학/대학원 교수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과학자/공학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뇌과학자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기억의 메커니즘으로 인간성을 해부하는 뇌인지과학자.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인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현재 학과장을 맡고 있다.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고 1998년 졸업한 후 미국 유타대학에서 신경과학으로 2002년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미국 휴스턴에 있는 텍사스 의과대학 신경생물해부학과와 보스턴대학의 뇌-기억센터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6년부터 미국 아이오와대학의 심리학과에서 조교수로 재직했다. 박사학위 연구 시절부터 뇌의 해마가 학습과 기억을 위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해온 이 분야 세계적 전문가다. 특히 목표지향적 과제를 수행할 때, 해마를 비롯해 해마와 긴밀히 연결된 전전두피질과 해마 주변의 영역들의 인지적 기능을 세포 수준에서 연구하기 위해 신경생리학적 방법론과 가상현실 행동실험 패러다임을 활용했다. 이에 대한 우수한 결과를 국제 유수의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 뇌인지과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들의 편집위원을 맡고 있으며, 한국뇌신경과학회의 총무이사와 학술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2022년 한국뇌신경과학회로부터 연구의 우수성과 한국 뇌과학 커뮤니티에 대한 공헌을 인정받아 장진학술상을 받았다. 연구 활동 외에도 대중적 지식 전파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 다른 지능, 다음 50년의 행복』(공저) 집필을 비롯해 네이버와 서울대 AI연구원이 추진하는 〈모두를 위한 AI〉 강연 시리즈 등 대중 강연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 AI연구원의 실무추진위원과 운영위원을 맡고 있다.


학력

  • 2002미국 유타대학 신경과학 박사
  • 1998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석사
  •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학사

수상

  • 2022한국뇌신경과학회 장진학술상

경력

  • 미국 텍사스 의과대학 신경생물해부학과, 보스턴대학 뇌-기억센터 박사후연구원
  • 2006미국 아이오와대학 심리학과 조교수
  • 뇌인지과학 분야 국제 학술지 편집위원
  • 한국뇌신경과학회 총무이사, 학술위원장 역임
  •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뇌인지과학과 교수 (학과장)
  • 네이버, 서울대 AI연구원 추진 〈모두를 위한 AI〉 강연 시리즈 등 대중 강연
  • 서울대학교 AI연구원 실무추진위원, 운영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