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지강 양한묵

지강 양한묵

국내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역사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독립운동가

출생1862년04월29일

사망1919년

출생지전라남도 해남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일제강점기 독립선언서에서 서명한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이며,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다.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아호는 지강(芝江)이다. 자는 경조(景朝) 또는 길중(吉仲)이다. 1962년 건국훈장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1862.‌4월 29일 전라남도 해남군 옥천면 영계리에서 아버지 상태(相泰), 어머니 낭주최씨(郎州崔氏)의 3남 중 장남으로 출생, 1866~1881. 5세에 시학(始學)하여 양사재(분원)에 취학 한문수학. 사서삼경을 비롯 유가 및 제서 섭렵, 불서·성경·고신도·음양·복술서 등 연구, 1882. 금강산, 구월산, 지리산, 묘향산 등 명산대찰 주유, 1883~1893 자하도(紫霞島) 방문. 광주 무등산 증심사에서 잠심 명상. 교육사업에 종사. 계룡산 등을 주유하고 상경, 1894. 탁지부주사(능주세무관), 보성·장흥 동학교도 수백 명 구출, 1897.‌능주세무서 사직. 중국 북경·천진·산동 등 유람, 1898~1902‌도일하여 일본과 세계대세를 통찰하며 일본에 망명 중인 손병희·오세창·권동진의 권유로 동학에 입교하고 사생결맹(死生結盟)함, 1903.‌‘진보회’ 결성. 부문(詂文) 기초 손병희 명의로 정부에 제출, 1904. 손병희 등 제씨와 ‘보국안민지책’, ‘진보회’ 4대강령 민중운동 제기, 1905. 이준 등과 ‘헌정연구회’ 조직. 〈황성신문〉에 ‘헌정요의’ 연재, 1906~1907. ‘헌정연구회’를 ‘대한자강회’로, 다시 ‘대한협회’로 개편. 헤이그밀사 이준의 여비 변출. ‘국채보상운동’. 천도교 서북삼도교구관장, 1908~1918. 천도교총부 현기과장, 법도사, 직무도사, 진리과장에 취임. 천도교교서 수권 저술. ‘이재명의사 이완용저격사건’ 교사혐의 피체 4개월 옥고. ‘사범강습소’ 개설. 보성전문중학·동덕여학교 등 경영. 교육진흥과 배일사상 고취. 경주 성지순례. ‘교리강습소’ 개설 배일사상과 애국정신함양. 호남학회 임시의장. 잠시 귀향 휴양. 노령·만주·중국·미주의 해외우국동지와 연락, 1918. 손병희 선생과 밀의 독립준비를 정인보 외 3인에게 위촉, 1919. 민족대표 33인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 서대문 감옥에서 암살(향년 58세). 서울 수철리 공동묘지 안장, 1922. 천도교 주관 전라남도 화순군 도곡면 신덕리 달구산으로 반장, 1962.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등의 이력이 있다.


수상

  • 1962건국훈장대통령장

경력

  • 1897.‌능주세무서 사직

주요 작품

[국내도서] 청산
[국내도서] 청산
나무자전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