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에드먼드 버크Edmund Burke

국외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공무원/공직자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정치가/정당인

출생1729년01월12일

사망1797년07월09일

출생지영국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아일린드 출신으로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수학한 뒤 영국에서 활약한 문필가이자 정치가다. 법을 공부하기를 희망하는 아버지의 뜻에 따라 1750년 런던으로 이주했지만 유럽 대륙을 여행하기 위해 공부를 곧 포기했다. 글을 쓰며 생계를 유지하기도 했던 그는 특히 문학에 높은 관심을 가졌다. 그러던 가운데 1756년 '자연적 사회의 옹호론'에서 정치에 대한 추상적 이론을 비판해 문학가로서의 결실을 맺는 동시에 정치사상가의 면모를 보였고 영국제도를 옹호하는 대표적인 논객이 되기에 이른다. 21세기의 연구자 D. 브롬위치는 18세기 인물인 버크에 대하여 '영국에서 가장 위대한 정치 저술가'이며, '대의정부역사상 가장 영감에 찬 웅변가'라는 찬사를 바쳤다. 저술가로서 버크의 명성은 1790년 11월에 발간한 '프랑스혁명에 관한 성찰'로 확고해졌다. 그의 저서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는 버크의 대표작인 '프랑스혁명에 관한 성찰'과 탁월한 정치가로 각인된 그의 이미지 때문에 비교적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버크의 유일한 미학 저술인 '숭고와 미의 근원을 찾아서'는 서양 미학의 양대 핵심인 숭고를 미와 독립적 미학개념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서양 미학사에 중요한 고전으로 꼽힌다. 고대 롱기누스의 '숭고론' 이후 다뤄지지 않은 숭고를 미와 함께 경험론적이고 심리학적으로 분석해 숭고와 미의 근대적 연구의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이 책은 숭고와 미의 작용인을 각각 제시했고 칸트가 '판단력 비판'을 저술하는 데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는 사실로도 매우 유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