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이욱

국외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역사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역사인물

사망0978년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서주(徐州) 출신으로, 초명은 종가(從嘉), 자는 중광(重光), 호는 종은(鍾隱)이다. 오대십국 시기 남당(南唐) 중주(中主) 이경(李璟)의 여섯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송(宋) 건륭(建隆) 2년(961) 금릉[지금의 난징(南京)]에서 즉위해 15년간 남당을 통치했기 때문에 세칭 이 후주(李後主)라고 한다. 이욱이 즉위할 때부터 남당은 이미 송의 연호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971년부터는 송에 대해 ‘칭신(稱臣)’했다. 개보(開寶) 7년(974) 송 태조가 여러 차례 이욱을 변경(汴京)으로 오도록 했으나 끝내 가지 않자, 10월에 군대를 끌고 강남 토벌을 시작했다. 다음 해 11월에 금릉이 함락되고 항복한 후주는 포로의 신분으로 변경으로 압송당해 위명후(違命侯)에 봉해졌다. 포로가 된 지 3년째 되던 해(978), <우미인> 사의 “故國不堪回首月明中”, “一江春水向東流” 등의 구절이 문제가 되어 독살당하고 말았다. 향년 41세였다. 후에 오왕(吳王)에 추증되었고, 낙양(洛陽) 망산(邙山)에 장사 지내졌다. 17세에 남당의 원로대신 주종(周宗)의 딸인 아황(娥皇)과 결혼했다. 이 여인이 바로 대주후(大周后)라고 불리는 소혜황후(昭惠皇后)였다. 결혼 후 10년 정도 지나서 대주후가 병이 들자 언니를 간호하러 궁정에 들어왔던 대주후의 동생과 눈이 맞았고, 소혜황후가 죽자 이욱은 이 여인을 황후에 봉했으며 언니보다 더 큰 사랑을 주었다. 이 여인이 바로 소주후(小周后)다. 소주후는 후주가 송에 항복한 후에도 변경에서 함께 생활했으며, 송 태종에게 개인적으로 멸시를 많이 받았다고 전해진다. 후주가 독살당하자 소주후도 슬픔 끝에 같은 해에 숨을 거두었다.


주요 작품

[eBook] 이욱 사집
[eBook] 이욱 사집
지식을만드는지식
[국내도서] 이욱 사집
[국내도서] 이욱 사집
지식을만드는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