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문고
  1. 홈 브레드크럼 아이콘slash 아이콘
  2. 인물&작품
  3. slash 아이콘
    메인드롭다운 닫힘 아이콘

홈리스행동 생애사 기록팀

국외인물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정치/사회단체/협회오른쪽 화살표 아이콘정치/사회단체/협회

공유하기 아이콘

인물소개

1) 말한 사람 남대문로5가 쪽방촌 주민 강성호, 권용수, 김강태, 김기철, 문형국 이석기, 이양순, 장영철 해피인 서울역 신종호 위원장, 홈리스행동 이동현 활동가 강성호는 어머니가 돌아가신 후부터 노숙을 시작해 오랫동안 서울역 과 병원을 오가는 생활을 지속하다 현재는 기초생활수급자가 되어 양동 쪽방에 살고 있다. 권용수는 두 차례 철거와 강제 이주에도 67년간 양동 쪽방을 지키며 살고 있다. 김강태는 14년간 외항선을 타며 젊은 시절을 보냈고, 가족의 배신과 IMF 외환위기를 동시에 겪으며 서울역 거리 생활을 시작했다. “ 누울 자리 ”를 찾아 장애인 시설, 돼지 농장, 양계장 등 전국 곳곳 을 누비다 2017년부터 양동 쪽방에 살고 있다. 김기철은 1976년에 상경한 이후 쭉 서울역 근처에서 생계를 꾸려 왔다. 딸 은영이 장애인 시설로 가게 되면서 가족과 이별하고 지금 은 양동 쪽방에 살며 딸과 함께 살 날을 기다리고 있다. 문형국은 3 년 전 류머티즘으로 중국집 프라이팬을 더 이상 들 수 없게 되면서 기초생활수급자가 되었고 양동에 전입신고를 했다. 이석기는 오랫동안 임금 체불에 시달리며 염전에서 일하다 탈출한 후 2019년, 양동 쪽방촌에 첫 ‘내 집’을 갖게 됐다. 이양순은 가정 폭력을 피해 집을 나온 후 서울역을 배회하다 만난 “아 저씨”와 쪽방촌에 자리를 잡았다. 장영철은 열세 살 때 걸어서 상경한 후 줄곧 거리와 쪽방을 오가며 지냈으며, 양동 쪽방에는 2017년부터 살고 있다. 신종호는 2019년부터 해피인 서울역 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매주 양동을 방문해 도시락을 전한다. 이동현은 대학 때부터 줄곧 주거 빈곤 현장에서 활동해 왔다. 현재는 홈리스행동에 상근 중이다. 2) 듣고 적은 사람 박내현 노동과 인권의 영역에서 활동 중이다. 한 존재가 오롯이 그 자체로 인정받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구술사 작업을 하고 있다. 박소영 작고 연약한 존재들이 제 몫의 삶을 잘 살아갈 수 있는 사회를 꿈꾸며 홈리스야학에 함께 하고 있다. 여름 홈리스야학 한글 교실에서 활동 중이다. 배제당한 존재의 기억으로 공간을 재구성하고 싶다. 오규상 ‘집’에 관심이 있다. 홈리스 운동의 현장과 장애인 운동의 자리에서 활동 중이다. 이동현 홈리스행동 상임 활동가. 의지와 무관하게 닥치는 일들에 주로 시간을 쓴다. 이런 과정들이 일목요연하게 엮이면 좋으련만 아직은 그저 잘 수습되길 바랄 뿐이다. 이은기 「시사인」 기자. 2018년 가을, 홈리스야학 활동을 시작해 반빈곤운동공간 아랫마을에서 얼쩡거리고 있다. 이재임 빈곤사회연대에서 활동한다. 이채윤 홈리스야학에서 여러 계절을 함께했고, 〈홈리스뉴스〉 편집위원으로 활동했다. 연대의 마음으로 인류학을 공부하고 있다. 최현숙 구술 생애사 작가. 저서로는 「할배의 탄생」, 「할매의 탄생」, 「삶을 똑바로 마주하고」, 「작별 일기」 등이 있다. 홍수경 홈리스야학에서 교사로 활동하고 있다. 성과가 잘 보이지 않는, 더디고 느린 활동이 주는 힘을 믿는다. 저항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잘 듣고 기록하고 싶다. 홍혜은 페미니스트 저술가・기획자. 서른 살까지 기초생활수급자로 지냈다. 여성・주거・빈곤・가족 문제를 연결시키는 작업을 한다.